서수(ordinal number)
서수란 1, 2, 3이라는 숫자 대신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와 같이무언가를 나열할 때의 그 순서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서수의 첫 번째 그룹만 배워두면 나머지는 아주 쉽습니다.
특히 올림픽과 같은 스포츠 경기에서 서수가 자주 사용되는데요, 1등(first place)은 금메달을, 2등(second place)은 은메달, 3등(third place)은
동메달을 딴다고 말할 때도 서수가 꼭 필요합니다.
1st = first (첫 번째, 첫째)
Jimmy was the best artist in the art competition today. He won first prize!
2nd = second (두 번째, 둘째)
Tom came to school early today. He was the second student to arrive.
3rd = third (세 번째, 셋째)
You were the third person to comment on my Facebook post. My parents commented before you.
4th = fourth (네 번째, 넷째)
I am the fourth child in the family, so everyone treats me like a baby.
기수를 서수로 만들기
기수(cardinal number)를 서수(ordinal number)로 바꾸는 룰도 한 번 알아볼까요?:
1로 끝난 기수를 서수로 바꾸어 주려면 끝에 “st”를 붙인다.
2로 끝난 기수를 서수로 바꾸어 주려면 끝에 “nd”를 붙인다.
3로 끝난 기수를 서수로 바꾸어 주려면 끝에 “rd”를 붙인다.
4로 끝난 기수를 서수로 바꾸어 주려면 끝에 “th”를 붙인다.
예:
101st = one hundred and first
42nd = forty-second
33rd = thirty-third
74th = seventy-fourth
단, 숫자“11”, “12”, “13”의 경우, 끝에 “th”를 붙여준다는 예외는 있습니다.
11th = eleventh
12th = twelfth
13th = thirteenth
분수
수학 시간에 분수 다 배워보셨을 거라 짐작되는데요, 분수는 “1/3″와 같이 두 개의 숫자와 이를 중간에 가르는 선을 하나 넣어 표현합니다. 그렇다면 분수는 영어로는 어떻게 말할까요?
분자(numerator, 분수 중 위에 위치하는 숫자)는 일반 기수(cardinal number)로 읽고,분모(denominator, 분수 중 아래에 위치하는 숫자)는 서수로 읽어야 합니다.
분자가 1이 아니라면 분모를 읽을 때 복수형으로 읽어주어야 한다는 것을 잊지 마십시오.
1/3 = one third
2/3 = two thirds
1/100 = one one hundredth
12/16 = twelve sixteenths
단, 아주 중요한 두 가지 예외가 있습니다.
1/2 = one half (one second이라고 읽으면 안 됩니다)
1/4, 2/4, 3/4 = one quarter, two quarters, three quarters (“one fourth”라고 읽을 수도 있지만, “two fourths”, “three fourths”로
읽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지역마다 다른 숫자 세기 방식
똑같은 숫자를 연속해서 말해야 할 때
영국인들은 일반적으로 연속적인 숫자가 있으면 이를 묶어 말하고, 반면 미국인들은 그냥 하나하나 다 말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자,91333-4155라는 일련의 숫자를 각각 영국, 미국에서는 어떻게 말하는지 볼까요?
영국: Nine one triple three, four one double five
미국: Nine one three three three, four one five five
천 단위가 넘어가는 숫자를 말할 때 차이
미국인과 영국인이 다르게 말하는 특정한 유형의 숫자가 있습니다. 예문으로 보면 한 번에 이해가 가실 겁니다:
2,400:
영국: Two thousand, four hundred
미국: Twenty-four hundred
3,700:
영국: Three thousand, seven hundred
미국: Thirty-seven hundred
9,800:
영국: Nine thousand, eight hundred
미국: Ninety-eight hundred
하지만 미국에서 영국식으로 읽는다고 해도 이상하다고 생각할 사람은 아무도 없으니 안심하세요.
숫자를 읽을 때 “And”의 포함 여부
단위가 높은 숫자를 영어로 읽어야 된다고 상상해봅시다. 그 큰 숫자를 어떻게 쪼갤 것인가요? 영국에서는 이럴 때 마지막 수식 전에 “and”를 삽입하는 관습이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에서는 이를 생략하죠.
542:
영국: Five hundred and forty-two
미국: Five hundred forty-two
영어로 숫자를 유창하게 읽기까지는 아마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될 것입니다. 그리고 너무 한 가지 숫자 카운팅 방법만 고수하지 말고 다양한 표현법도 배워두시는 게 도움됩니다.
-출처:영어와영어문화 블로그 FluentU
서수(ordinal number)
서수란 1, 2, 3이라는 숫자 대신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와 같이무언가를 나열할 때의 그 순서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서수의 첫 번째 그룹만 배워두면 나머지는 아주 쉽습니다.
특히 올림픽과 같은 스포츠 경기에서 서수가 자주 사용되는데요, 1등(first place)은 금메달을, 2등(second place)은 은메달, 3등(third place)은
동메달을 딴다고 말할 때도 서수가 꼭 필요합니다.
1st = first (첫 번째, 첫째)
Jimmy was the best artist in the art competition today. He won first prize!
2nd = second (두 번째, 둘째)
Tom came to school early today. He was the second student to arrive.
3rd = third (세 번째, 셋째)
You were the third person to comment on my Facebook post. My parents commented before you.
4th = fourth (네 번째, 넷째)
I am the fourth child in the family, so everyone treats me like a baby.
기수를 서수로 만들기
기수(cardinal number)를 서수(ordinal number)로 바꾸는 룰도 한 번 알아볼까요?:
1로 끝난 기수를 서수로 바꾸어 주려면 끝에 “st”를 붙인다.
2로 끝난 기수를 서수로 바꾸어 주려면 끝에 “nd”를 붙인다.
3로 끝난 기수를 서수로 바꾸어 주려면 끝에 “rd”를 붙인다.
4로 끝난 기수를 서수로 바꾸어 주려면 끝에 “th”를 붙인다.
예:
101st = one hundred and first
42nd = forty-second
33rd = thirty-third
74th = seventy-fourth
단, 숫자“11”, “12”, “13”의 경우, 끝에 “th”를 붙여준다는 예외는 있습니다.
11th = eleventh
12th = twelfth
13th = thirteenth
분수
수학 시간에 분수 다 배워보셨을 거라 짐작되는데요, 분수는 “1/3″와 같이 두 개의 숫자와 이를 중간에 가르는 선을 하나 넣어 표현합니다. 그렇다면 분수는 영어로는 어떻게 말할까요?
분자(numerator, 분수 중 위에 위치하는 숫자)는 일반 기수(cardinal number)로 읽고,분모(denominator, 분수 중 아래에 위치하는 숫자)는 서수로 읽어야 합니다.
분자가 1이 아니라면 분모를 읽을 때 복수형으로 읽어주어야 한다는 것을 잊지 마십시오.
1/3 = one third
2/3 = two thirds
1/100 = one one hundredth
12/16 = twelve sixteenths
단, 아주 중요한 두 가지 예외가 있습니다.
1/2 = one half (one second이라고 읽으면 안 됩니다)
1/4, 2/4, 3/4 = one quarter, two quarters, three quarters (“one fourth”라고 읽을 수도 있지만, “two fourths”, “three fourths”로
읽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지역마다 다른 숫자 세기 방식
똑같은 숫자를 연속해서 말해야 할 때
영국인들은 일반적으로 연속적인 숫자가 있으면 이를 묶어 말하고, 반면 미국인들은 그냥 하나하나 다 말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자,91333-4155라는 일련의 숫자를 각각 영국, 미국에서는 어떻게 말하는지 볼까요?
영국: Nine one triple three, four one double five
미국: Nine one three three three, four one five five
천 단위가 넘어가는 숫자를 말할 때 차이
미국인과 영국인이 다르게 말하는 특정한 유형의 숫자가 있습니다. 예문으로 보면 한 번에 이해가 가실 겁니다:
2,400:
영국: Two thousand, four hundred
미국: Twenty-four hundred
3,700:
영국: Three thousand, seven hundred
미국: Thirty-seven hundred
9,800:
영국: Nine thousand, eight hundred
미국: Ninety-eight hundred
하지만 미국에서 영국식으로 읽는다고 해도 이상하다고 생각할 사람은 아무도 없으니 안심하세요.
숫자를 읽을 때 “And”의 포함 여부
단위가 높은 숫자를 영어로 읽어야 된다고 상상해봅시다. 그 큰 숫자를 어떻게 쪼갤 것인가요? 영국에서는 이럴 때 마지막 수식 전에 “and”를 삽입하는 관습이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에서는 이를 생략하죠.
542:
영국: Five hundred and forty-two
미국: Five hundred forty-two
영어로 숫자를 유창하게 읽기까지는 아마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될 것입니다. 그리고 너무 한 가지 숫자 카운팅 방법만 고수하지 말고 다양한 표현법도 배워두시는 게 도움됩니다.
-출처:영어와영어문화 블로그 FluentU